남정일헌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mntman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5-03-28 00:29

본문

남정일헌이 남정일헌이 살았던 충남 예산읍 간양리 생가지. 문희순 문학박사·충청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태극은 바로 만물의 근원 되나니(太極斯爲萬物先) / 염옹의 태극도설 지금까지 전해지네.(濂翁圖說至今傳) // 기는 천지의 형체 없는 밖에서 운행하고(氣行天地無形外) / 이는 음양이 나뉘기 전에 갖추어져있지.(理具陰陽未判前) / 달빛이 온 시내 물 비추니 형상 가히 즐길만하고(月照萬川象可玩) / 수은은 천 개로 나뉘어도 형체 모두 둥글도다.(汞分千塊體皆圓) / 우리들 각각의 마음속에 태극이 있나니(吾人各有心中極) / 솟구치는 물의 근원 하늘처럼 넓고도 넓구나.(活水源頭浩浩天)이 시는 '태극(太極)'으로, 남정일헌(南貞一軒, 1840-1922)이 지었다. 정일헌의 무르익은 성리 철학과 정제된 언어의 조탁이 하나로 어우러진 걸작이다. 정일헌은 시 '태극'에서 '염옹도설', 곧 중국 북송 시대 주돈이(1017-1073)의 '태극도설'을 언급하고, 만물화생의 근원에 태극이 있음을 전제했다. 시의 5, 6구에서 "달빛이 온 시내 물 비추니 형상 가히 즐길만하고, 수은은 천 개로 나뉘어도 형체가 모두 둥글다."고 표현함으로써, 이기·음양 이전의 우주론인 태극을 노래했다. 이것은 마치 남송 시대 주희(1130-1200)의 "대개 합해서 말하면 만물 전체가 하나의 태극이요, 나누어 말하면 하나의 사물마다 각각 하나의 태극을 갖추고 있다."라는 이론과 맥락이 같다.정일헌은 하늘에 떠 있는 '달'이라는 '통체(統體)'가 땅에 있는 온 시냇물에 내리비춰 '각체(各體)'를 만들어 내는 '월인천강(月印千江)', 즉 천개의 달을 노래했다. 그리고 수천 개의 크고 작은 덩어리로 나뉜 수은도 그 이치는 모두 하나, 바로 둥글다는 것이다. 정일헌은 수은과 달, 태극의 원형의 형체를 대비시켜, 사람마다 천차만별의 크기로 존재하는 마음의 태극을 강조했다. 특히 마지막 8구에서 "솟구치는 물의 근원 하늘처럼 넓고도 넓구나(活水源頭浩浩天)." 라고 읊은 것은 주희의 '관서유감' 시 중 "근원에서 샘물이 솟구쳐 흘러오기 때문이지(爲有源頭活水來)

쿠팡배송기사 네이버플레이스상위노출 디시인사이드매크로 다산동부동산 웹상단작업 플레이스상위 네이버상단노출 네이버자동글쓰기 구글상위노출 구글상단노출 웹SEO SEO 지식인자동답변 상위노출 홈페이지상위노출 네이버상위노출 웹사이트상위노출 네이버상단작업 개포동부동산 쿠팡배송기사 네이버플레이스상위노출 디시인사이드매크로 다산동부동산 웹상단작업 플레이스상위 네이버상단노출 네이버자동글쓰기 구글상위노출 구글상단노출 웹SEO SEO 지식인자동답변 상위노출 홈페이지상위노출 네이버상위노출 웹사이트상위노출 네이버상단작업 개포동부동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2024 @광주이단상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