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앞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재 선고 이후에 낸 입장 저희가 조금 전에 전해 드렸는데요. 이 내용은 다시 한번 용산 대통령실 연결해서 지금 상황 알아보겠습니다.강희연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조금 전 낸 입장 다시 한번 짚어볼까요?[기자]네, 윤 전 대통령이 조금 전 탄핵 선고 2시간 반 정도 지나서 법률대리인단을 통해서 입장을 냈습니다.윤 전 대통령은 "그동안 대한민국을 위해 일할 수 있어서 큰 영광이었다"며 "많이 부족한 저를지지해 주고 응원해 준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습니다.그러면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안타깝고 죄송하다"며 "사랑하는 대한민국과 국민 여러분을 위해 늘 기도하겠다"고 짧은 메시지를 남겼습니다.다만 입장문엔 선고 결과에 대해 승복하겠다는 입장은 담기지 않았습니다.앞서 윤 전 대통령 측 대리인단인 윤갑근 변호사도 선고 직후 기자들을 만나서 "법리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결정, 완전히 정치적인 결정"이라며 "참담하다"는 입장을 내면서 선고 결과에 반발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 바 있습니다.이런 가운데 오전 11시 40분쯤엔 대통령실 청사에 걸려있던 대통령을 상징하는 봉황기가조용히 내려갔습니다.윤 전 대통령의 공식 임기가 시작됐던 2022년 5월 10일 용산 대통령실에 처음 내걸렸던 봉황기가 3년 만에, 윤 대통령 취임 1061일 만에 내려간 겁니다.[앵커]네, 이제 봉황기도 내려갔고, 전 대통령이기 때문에 사저로 가야 합니다. 그런데 바로 가지는 못할 거라고요?[기자]네 그렇습니다.윤 전 대통령은 한남동 관저를 떠나 사저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로 향할 걸로 전망되지만, 언제까지 관저를 비워줘야 한다는 규정은 따로 없기 때문에 경호 등을 이유로 관저에 며칠 더 머무를 가능성도 있습니다.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 선고 이틀 뒤 청와대를 떠난 바 있죠. 윤 전 대통령은 향후 사저에서 변호인단과 함께 앞으로 이어질 내란혐의 수사 대비에 나설 걸로 보입니다.[앵커]네 윤 전 대통령, 오늘(4일) 파면이 됐기 때문에 달라지는 것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점 지난해 10월 2일 서울 시내 하늘 위에 떠 있는 북한의 대남 쓰레기 풍선에서 쓰레기들이 떨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북한의 쓰레기 풍선이 남한으로 날아오는 등 남북관계 긴장감이 높아진 상황 속에서 학생 10명 가운데 약 4명은 통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통계를 낸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통일부는 4일 전국 시도교육청 협조를 받아 지난해 초·중·고교 775곳의 학생 7만4,288명, 교사 4,42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4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 없다’는 응답은 42.3%로 2014년 조사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2년과 이듬해 각각 31.7%, 38.9%를 나타내며 꾸준히 올랐지만 40%를 넘긴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반대로 ‘통일이 필요하다’는 학생 비율은 47.6%로 전년 대비 2.2%포인트 줄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북한과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해 10월 2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조사된 결과라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통일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학생들은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통일 이후 생겨날 사회적 문제’ 때문이라는 응답이 29.4%로 가장 많았다. 이어 ‘통일에 따르는 경제적 부담’(22.2%), ‘남북 간 정치제도 차이’(18.7%) 순이었다. 대북 인식과 관련해서는 63.2%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경계 대상’과 ‘적대적인 대상’이라는 응답이 각각 48.2%, 15.0%였다. 반면 ‘협력 대상’이라는 인식은 27.8%, ‘도와줘야 하는 대상’이란 인식은 6.5%에 그쳤다. 현재 남북관계가 평화롭지 않다는 학생은 75.8%로, '평화롭다'(4.6%)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만 교사들의 경우 통일이 '필요하다'(79.2%)는 응답이 '필요 없다'(17.7%)를 크게 웃돌아 학생들과의 인식 차가 컸다. 2021년 같은 조사에서 협